닫기
닫기

스포츠윤리 연구의 활성화를 통해

스포츠계 공정성 확보와 건전한 발전에 기여

스포츠 속 윤리에 관한 학술적 탐구

스포츠윤리 연구의 활성화를 통해

스포츠계 공정성 확보와 건전한 발전에 기여

스포츠 속 윤리에 관한 학술적 탐구

스포츠윤리 연구의 활성화를 통해

스포츠계 공정성 확보와 건전한 발전에 기여

스포츠 속 윤리에 관한 학술적 탐구

01 02 03
이전 이후

회원으로 로그인하시면
더 많은 서비스를 누릴 수 있습니다.

더보기

『스포츠와 윤리』 5권 1호 원고모집 안내
안녕하세요. 국민대학교 스포츠윤리연구소에서 발간하는 『스포츠와 윤리』 5권 1호에 게재할 원고를 모집합니다. 원고접수 마감일은 3월 15일(토)이고 발행 예정일은 4월 30일입니다. 1. 연구주제『스포츠와 윤리(Journal of Sport Ethics)』는 스포츠에서 발생하는 윤리의 문제를 윤리학, 심리학, 교육학 등 여러 학문분야의 이론과 기법을 동원하여 다면적으로 파악하려는 학제적 연구를 지향합니다.2. 2025년 논문 접수 및 발간일 제5권논문 접수 마감일학술지 발간 예정일비고1호2025.01.01. ~ 2025.03.15.2025. 04. 30.접수중2호2025.03.16. ~ 2025.09.15.2025. 10. 31.예정3. 투고방법- 온라인 논문투고 시스템(JAMS)을 통해 원고를 접수합니다.- 본 홈페이지 ‘학술지’ 탭에서 ‘온라인논문투고’를 클릭 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본 학술지 논문견본을 다운받아 편집양식에 맞게 작성하여 탑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홈페이지 ‘학술지’ 탭에서 ‘논문관련양식’을 클릭하시면 논문작성양식(샘플논문)을 포함한 제반 서류를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원고 분량은 참고문헌을 포함하여 본 학술지 논문작성양식 기준 10매를 기준으로 하며 20매를 초과하지 않도록 부탁드립니다.심사비는 무료이며, 게재비는 15만 원입니다(연구비를 지원받는 논문도 동일). ※ 논문 탑재 후 저자수, 저자명, 저자순서 및 교신저자 수정은 불가하오니 착오 없도록 반드시 확인 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4. 투고를 위한 준비 서류① 저자 정보가 삭제된 논문 원고② 연구윤리서약서 및 저작권이양동의서☛ ‘논문관련양식’에서 다운로드③ KCI 문헌 유사도 검사 종합 결과 확인서☛ KCI 논문유사도 검사 서비스(https://check.kci.go.kr/)에서 유사도 검사 후 확인서 다운로드※ 마감일까지 위 모든 서류가 탑재되어야 논문심사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빠짐없이 준비해 주시기 바랍니다. 5. 문의사항이나 궁금하신 점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이메일: dpswim@kookmin.ac.kr / 연락처: 02) 910-5134 (스포츠윤리연구소) 유익한 학술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연구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국민대학교 스포츠윤리연구소『스포츠와 윤리』 편집위원회서울 성북구 정릉로 77국민대학교 미래관 220호  02-910-5134 / dpswim@kookmin.ac.kr 
2024.12.17
『스포츠와 윤리』 4권 2호 원고모집 안내
안녕하세요. 국민대학교 스포츠윤리연구소에서 발간하는 『스포츠와 윤리』 4권 2호에 게재할 원고를 모집합니다. 원고접수 마감일은 9월 15일(일)이고 발행 예정일은 10월 31일입니다.   1. 연구주제  『스포츠와 윤리(Journal of Sport Ethics)』는 스포츠에서 발생하는 윤리의 문제를 윤리학, 심리학, 교육학 등 여러 학문분야의 이론과 기법을 동원하여 다면적으로 파악하려는 학제적 연구를 지향합니다.2. 2024년 논문 접수 및 발간일 제4권논문 접수 마감일학술지 발간 예정일비고1호2024.01.01. ~ 2024.03.15.2024. 04. 30.마감2호2024.03.16. ~ 2024.09.15.2024. 10. 30.접수중3. 투고방법- 온라인 논문투고 시스템(JAMS)을 통해 원고를 접수합니다. - 본 홈페이지 ‘학술지’ 탭에서 ‘온라인논문투고’를 클릭 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학술지 논문견본을 다운받아 편집양식에 맞게 작성하여 탑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홈페이지 ‘학술지’ 탭에서 ‘논문관련양식’을 클릭하시면 논문작성양식(샘플논문)을 포함한 제반 서류를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원고 분량은 참고문헌을 포함하여 본 학술지 논문작성양식 기준 10매를 기준으로 하며 20매를 초과하지 않도록 부탁드립니다.심사비는 무료이며, 게재비는 15만 원입니다(연구비를 지원받는 논문도 동일).  ※ 논문 탑재 후 저자수, 저자명, 저자순서 및 교신저자 수정은 불가하오니 착오 없도록 반드시 확인 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4. 투고를 위한 준비 서류① 저자 정보가 삭제된 논문 원고 ② 연구윤리서약서 및 저작권이양동의서 ☛ ‘논문관련양식’에서 다운로드 ③ KCI 문헌 유사도 검사 종합 결과 확인서 ☛ KCI 논문유사도 검사 서비스(https://check.kci.go.kr/)에서 유사도 검사 후 확인서 다운로드※ 마감일까지 위 모든 서류가 탑재되어야 논문심사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빠짐없이 준비해 주시기 바랍니다.   5. 문의사항이나 궁금하신 점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이메일: dpswim@kookmin.ac.kr / 연락처: 02) 910-5134 (스포츠윤리연구소)   유익한 학술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연구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국민대학교 스포츠윤리연구소『스포츠와 윤리』 편집위원회서울 성북구 정릉로 77국민대학교 미래관 220호  02-910-5134 / dpswim@kookmin.ac.kr
2024.08.15

더보기

스포츠피싱은 스포츠인가?
스포츠피싱은 스포츠인가?임다연(국립목포해양대학교)스포츠와 윤리 Vo1.4 No.1[2024] 스포츠와 비스포츠의 경계에 놓이는 새로운 활동들이 과연 스포츠가 될 수 있는가에 대한 논쟁이 끊임없이 이어져오고 있다. 최근 스포츠피싱은 레저 인구가 천만에 달하며 그 인기가 점점 커지고 있고, 토너먼트 또한 활발히 열리고있다. 그렇다면 스포츠피싱은 스포츠가 될 수 있는가? 본 논문의 목적은 스포츠피싱이 스포츠로 허용될 수 있는지를고찰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Suits(1978, 1988, 2018), Guttmann(1978), Parry(2006, 2019), Aranyosi(2018)가 제시한 스포츠의 정의와 스포츠가 갖춰야 할 구성요소들을 분석함으로써 낚시의 본질과 특성이 스포츠로서 적합한지를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낚시의 개념과 관행을 살펴봄으로써 스포츠피싱으로 나아가기 위한 조건을 분석하였으며, 끝으로 스포츠의 조건과 특성, 낚시의 조건과 특성이 각각 어떤방식으로 부합하고 있는지를 규명함으로써 낚시가 스포츠로 고려될 충분한 가능성이 있음을 근거 짓고자 하였다. 나아가 스포츠로서의 윤리적 쟁점을 분석함으로써 낚시의 스포츠적인 입장을 견고히 하였다. 스포츠피싱은 신체성, 경쟁성, 유희성, 대중성, 제도화, 규칙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에 스포츠로 인정하지 않기는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2024.10.10
스포츠윤리상담의 이론적 토대 연구
스포츠윤리상담의 이론적 토대 연구임다연(국립목포해양대학교); 성경주(극동대학교)한국체육학회지 Vo1.63 No.1[2024] 본 연구는 스포츠윤리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 방법이 될 수 있는 스포츠윤리상담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스포츠윤리상담을 스포츠 현장에서 스포츠인의 윤리의식 확립과 비윤리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적용하고자 하며, 이에 필요한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상담의 규범적 성격에 기초하여 스포츠윤리상담에 적용가능한 내용과 이론을 규명함으로써 스포츠윤리상담 정립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결과, 스포츠윤리 상담에 적용 가능한 애착이론, 대상관계이론, 인지행동이론을 규명하였다. 스포츠윤리상담의 목표는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바꾸어 수용할 수 있는 합리적 결과를 찾게 하는 것이다. 위 세 가지 내용과 이론을 바탕으로 상담시 가장 기본이 되는 소크라테스 문답법(Socratic Questioning)을 활용하여 내담자의 비합리적인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이끌어갈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상담기법과 이론을 규명함으로써 스포츠윤리상담 정립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나아가 향후 스포츠윤리상담의 구체적인 방법과 이론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2024.10.10
연구소 연락처
02) 910-5134

대표메일 : dpswim@kookmin.ac.kr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철학회 스포츠윤리센터 대한체육회 국가인권위원회
맨위로